##_revenue_list_upper_##
728x90

 

 

 

 

 

 

 

휴가 별로 없는 2019년.

 

캠핑을 좋아하는 사람에겐 꼭 떠나야만 하는 어린이날 연휴다.

 

 

 

그 동안 5월 초에 캠핑을 여러 곳 떠나보았다.

 

강원도 산속에서 떨어보기도 하고, 동해 캠핑을 예약했다가 강풍에 취소도 여러 번 해보니

 

이 맘때는 춥지 않고, 바람도 덜 부는 곳이 제격이 듯 하다.

 

 

 

 

 

 

 

 

 

 

성불산 자연휴양림 3번 데크.

 

차 막힐 걸 감안해 금요일 저녁 출발해

 

늦은 밤 주차장에서 짐을 옮기고 이웃이 깰까봐 조심스레 어둠 속에서 쳤던 텐트.

 

밤에는 잘 보이지 않던 나무숲 아래 텐트가 여유롭고 평온해 보이는 건 내 마음이 그러하기 때문이겠지.

 

 

 

 

 

 

 

 

 

 

 

비워져 있는 상단데크에서도

 

솔캠을 온 옆집 아저씨의 단촐한 텐트와 타프에서도, 한적한 토요일 오전이 느껴진다.

 

 

 

 

 

 

 

 

작은 텐트 두 동 위로 타프 스크린을 올린다.

 

비 예보가 없고,

 

아직까지 쌀쌀한 저녁에 추위를 덜 느끼고,

 

독립된 공간 느낌을 주는 데는 타프스크린이 제격이다.

 

 

 

 

 

 

 

 

 

 

캠핑장에서 주는 어린이날 선물은 보통 선물과는 다르다.

 

아침을 먹고 애들에게 선물을 주기위해 오르막길을 오른다.

 

 

 

 

 

 

 

 

 

성불산 자연휴양림에서는 목공예를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는데, 

 

이번 어린이날 선물로 여러 목공예 중 제일 비싼 걸로 선택했다. 

 

인두기를 이용해 나무판을 태워 그림을 그리는 목공예인데,  처음 접하는 인두로 제법 근사하게 작품을 만들어 냈다. 

 

 

 

 

 

 

 

 

 

 

 

 

한동안 작품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난 후 오후에는 휴양림 윗 쪽으로 산책을 나선다.

 

5월 초인데도 제법 날씨가 따뜻해져 숲속의 집으로 향하는 오르막에도 몸이 금세 더워진다.

 

 

 

 

 

 

 

 

 




데크 위 벤치에 잠시 쉬려고 앉으니 덥다는 느낌이 덜해지며 주변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짙은 초록빛을 내는 소나무들이 주종을 이루는 성불산이 휴양림을 포근히 감싸고,

 

데크 주변으로 몸집이 작은 꽃잔디가 하나 둘 모여 군락을 이루어 참으로 고운 빛깔을 만들어준다. 

 

 

 

 

 



 

 

그리고 도착한 놀이터.

 

이제 점점 커가고 있어 놀이터에 관심이 덜해졌을 거라 생각했는데 놀이터에서 한참을 놀았다.

 

 

 

 

 

 

 

 

 

 

 

 

한 참을 놀다 다시 사이트로 내려왔다. 

 

화창하게 내려쬐는 햇살에 내리막길이라도 덥기는 매한가지.

 

이제는 온전한 휴식 시간.

 

애들은 해먹에서 놀이를 하고 어른들은 의자에 앉아 이제 막 파릇파릇 해지기 시작한 숲속의 모습을 보며 멍때리기를 즐긴다.

 

 

 

 

 

 

 

 

 

 

 

 

 

그 다음 날, 어린이날인데 우리의 행선지는 놀이동산이 아니다.

 

이런 날 놀이동산을 가는 건 애들이나 부모에게나 고행길이 될 것이 틀림없다.

 

도로를 꽉 메운 차들에 스트레스 받고 엄청난 인파에 치이는 걸 생각하니 그런 곳은 갈 엄두가 나질 않는다.

 

 

 

 

 

 

 

 

 

 

 

 

우리 가족이 찾은 곳은 보배산 각연사.

 

성불산 자연휴양림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고,

 

연휴 인파를 피해 최대한 인적이 뜸한 곳으로, 좀 더 싱그러워지는 숲을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찾아왔다.

 

 

 

 

 

 

칠보산, 덕가산, 보배산 등 속리산 국립공원 명산에 포근하게 둘러싸여 사방이 온통 5월의 신록으로 가득하다.

 

절로 향하는 길 옆으로는 맑디 맑은 계곡물이 흘러내려 보는 이의 마음 속을 깨끗이 씻어주는 듯 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마음에 드는 것은 주차료, 입장료를 받지 않는다.

 

문화재 관리 차원에서 1천원 받는 것은 이해가 되나,

 

3000 ~ 4000원을 받는 사찰이 드물지 않게 있고, 주차료도 별도로 받고 있는 거에 비하면

 

여긴 세속의 때를 덜 탄 곳임이 틀림없다.

 

 

 

 

 

 

 

 

 

 

 

계곡 옆으로 난 아스팔트 길을 올라가면 철쭉, 왕벚꽃, 여러 봄꽃이 화사하게 피어있는 각연사가 보이기 시작하고,

 

대웅전 앞마당에 올라서면 주변의 멋진 산세가 눈에 들어오면서 절의 앉음새가 그렇게 아늑할 수가 없다.

 

 

 

 

 

 

 

 

 

 

절마다 각 절을 대표하는 건물이나 문화재가 있기 마련인데,

 

이 곳은 비로전이 가장 눈길을 끄는 데 그 이유는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이 불상 때문이다.

 

 

 

 

 

 

 

 

 

 

오랜 연륜이 묻어나는 비로자나불과 비로전만이 구경거리가 아니다.

 

비로전 앞마당에서 바라보는 보배산의 아름다운 산세.

 

 

 

비로전만큼 오랜 시간 동안 앞마당을 지켜온 듯한 높다른 노거수와 마당 한켠에 흐뜨러지게 피어 있는 왕벚꽃.

 

비로전 앞마당에서 바라본 자연의 모습은 봄을 맞아 서서히 색을 바꾸어 가고,

 

그 바뀌어 가는 속도는 한없이 느려서 인지 앞마당도 고요하기만 하다.

 

 

 

이 때 잔잔한 바람이 불어 은은한 풍경 소리가 들려오고,

 

귀 안을 부드럽게 구르는 그 풍경 소리에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구경 거리는 여기서 끝이 나지 않는다.

 

계곡길을 따라 더 올라가 보기로 한다.

 

휴일인데도 인적이 뜸한 이 길은 온통 연두빛으로 갈아입고 우리를 맞이하는 듯 하다.

 

 

 

 

 

 

 

 

 

 

 

 

길 옆으로는 조선시대에 조성한 것 같은 부도가 보이고, 옛 스님들의 흔적이 여기저기 남아 있다.

 

그 흔적은 통일대사 탑비를 만나면서 더 또렷해졌다. 

 

 

 

 

 

 

 

 

 

 

 

 

 

 

각연사와 떨어져서 위치해 있는 것이 상당히 특이하면서도 흥미롭다.

 

더욱 놀라운 것은 보통 탑비와 탑이 같이 위치해 있는데 여기 탑은 이곳에서 산길로 한참을 올라가야 만날 수 있다고 한다.

 

 

 

몇 년 전 구례 연곡사에 본 본 탑비는 탑이 온데간데 없이 귀부만 남아있었는데

 

여기선 탑비가 온전히 남아있어 다행스럽고 반갑기 그지 없었다.

 

비문은 닳아 확인할 수 있는 글자가 많지 않지만,

 

탑을 떠받치고 있는 거북의 꼬리와 머릿돌에 새겨진 용모양이 상당히 디테일하다. 

 

 

 

 

 

 

 

 

애들이 갑자기 하늘을 가리키며 소리친다. 

 

한 손으로 햇빛을 가리고 올려다 보니 소나무 가지 사이로 옅은 무지개가 보인다.

 

 

그냥 무지개가 아니다.

 

행운은 가져다 준다는 원형 무지개다. 

 

깊은 숲속에서 통일대사 탑비를 구경한 것만 해도 좋았는데, 평소에 보기 힘든 해무리를 이곳에서 만나 더 없이 기뻤다.

 

 

 

 

 

 

 

 

 

 

 

통일대사 탑비와 행운의 무지개를 만난 기쁨을 가득안고 우린 다시 각연사로 되돌아갔다.

 

 

 

 

 

 

 

 

 

 

대웅전 앞에 있는 약수로 갈증난 목을 축이고, 시원한 계곡물에 발을 담그고 걷느라 고생한 발을 식혔다.

 

얼음장같이 차가운 계곡물에 10초 이상 발을 담글 수 없을 정도였지만,

 

몸 속에 갇혀있는 묵은 독소가 발을 통해 빠져나가는 듯 상쾌했다.

 

 

 

 

 

 

 

 

 

 

 

돌아가는 길에 애들에게 역사 교육을 더 시키기 위해 충주에 들러 중원탑과 중원 고구려비도 구경했다.

 

비록 애들이 원하는 곳은 아니었지만 애들에게 유익한 시간이 되었음은 확실하다.

 

 

 

 

 

 

 

 

 

 

 

 

 

 

[ 다음 블로그에서 옮김] 

http://blog.daum.net/kony357/104

 

성불산 자연휴양림 - 우리가족 62번 째 캠핑 (2019년 5월 3일 ~ 5일)

연휴가 별로 없는 2019년. 캠핑을 좋아하는 사람에겐 꼭 떠나야만 하는 어린이날 연휴다. 그 동안 5월 초에 캠핑을 여러 곳 떠나보았다. 강원도 산속에서 떨어보기도 하고, 동해 캠핑을 예약했다

blog.daum.net

 

728x90

+ Recent posts